반응형 부동산 상식151 공공 민간분양 1순위 주택청약통장 조건과 매달 납입금액 차이점 요즘 우리나라에는 나이가 많든 적든 돈이 많든 적든 주택청약통장을 가지고 있지않은 사람을 찾기가 힘들정도로 많은분들이 기초적인 재테크로 사용을 하고있습니다 정말 모두가 가지고있는게 청약통장이다보니 얼마를 납입해야하는지 정확하게 모르시는분들도 계시더라구요. 이렇게 알고계신분들이 생각보다 많이 계셨습니다~ 그래서 주택청약통장에 매달 얼마를 넣어야 하는지 또한 공공분양과 민간분양의 1순위조건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주택청약통장의 쓰임새를 먼저 설명드릴게요 아파트를 분양할때는 청약제도로 운영합니다 즉, 아파트 분양을 받고싶다! -> 주택청약통장이 필요합니다! 이정도는 다들 알고계시죠!? 주택청약통장의 납입금액은 2만원부터 50만원까지 자유롭게 넣으실수 있는데요 여기서 매달 2만원씩만 내시는분들도.. 2020. 8. 12. 주택임대사업자 등록하면 혜택 준다더니 폐지? 저번 연도부터 해서 이번 연도까지 부동산 규제가 엄청나게 추가되고 보완되고를 반복하고 있는 듯합니다 주택을 구매하려는 분들과 주택을 이미 구매하신 분들까지 머리가 너무 복잡하실 것 같은데요 이번에는 주택임대사업자까지 규제?를 시작했습니다 기존에 주택 임 자사 업자 등록하면 특별한 세제혜택을 주겠다고 약속을 한 정부가 완전히 말을 바꿔버린 것입니다. 먼저 모르실 분들을 위해서 "주택임대사업자"는 1채 이상 주택을 보유하고 그 주택으로 월세나 전세를 임대를 주면서 임대사업을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정부에서는 주택임대사업자를 등록하면 취득세, 재산세, 10년 장기보유 특별공제, 종합부동산세 등등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안 하면 바보야"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모든 주택임대사업자가 끌릴정도의 혜택들을 내놓았는데요 .. 2020. 8. 9. 불만이 많은 임대차 3법 시행, 소급적용, 월세전환 2020년 07월 31일 이후부터 새로운 주택임대차 3법이 시행되었습니다 임대차 3법은 무엇인가? 1. 전월세 신고제 - 기존에는 매매와 교환의 거래에만 신고제도가 있었지만 이제부터는 전세 월세를 거래할때에도 의무적으로 신고를 해야하는 신고제도가 생겼습니다. 정부는 전월세신고제를 통해서 부동산 월세 전세 시장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할수있고, 임대소득으로 발생하는 세금 또한 정확하게 부과할수있게 됩니다 2. 전월세 상한제 - 임대료 인상을 원하는 경우에 기존 보증금의 5%이상 올릴 수 없게됩니다 기존 집주인 : 주변 전세시세가 많이 올랐어요 주변 시세와 마찬가지로 보증금 2억정도를 올려주세요 개선 집주인 : 주변 전세시세가 많이 올랐지만, 전월세 상한제로 5%이상밖에 못올리니 5%만 올려주세요 3. 계약갱신.. 2020. 8. 2. 경기도권 토지거래허가제 허가구역 추가 검토!? 경기도권에서도 주택을 거래할때 토지거래허가제를 검토하고있다는 뉴스를 혹시 보셨나요!? 토지거래허가제는 많은분들이 아시다시피 삼성동/대치동/청담동/잠실동 구역에서 토지거래허가제를 시행하고있습니다 토지거래허가제는 부동산 시장의 안정을 찾기 위해서 허가구역으로 지정된곳에서 토지를 거래할때 시장,군수,구청장에게 허가를 받고 거래를 진행하는것을 말합니다. 삼성동/대치동/청담동/잠실동은 국제교류복합지구의 개발호재로 인해서 투기를 방지하고자 정부에서 미리 토지거래허가제라는 제도로 시장 안정화를 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는중입니다 토지거래허가제가 적용되는 허가구역에서는 주택 18m2(구 5.4평형), 상가 20m2(구 6평형) 면적 이상을 거래를 할때 시장,군수,구청장에게 허가를 받고 거래를 진행해야합니다. 내가 왜 이 토.. 2020. 7. 31.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38 다음 반응형